본문 바로가기
멀고도 가까운 천문학

천문학의 기원1 (티그리스-유프라테스강)

by 녹스연구소장 2023. 1. 1.
반응형

천문학... 그것은 어디부터 시작되었을까?

 

메소포타미아

 

천문학원 기원을 4대 문명 발생지로부터 찾아보려고 한다. 고대 티그리스-유프라테스 강 유역은 가장 오래된 인류 문명의 발생지 가운데 하나이다. 이곳의 우수한 문화를 접하고 여기에 매료된 주변 민족들은 점차 이들 문화를 받아들여 사용했다. 고대 티그리스-유프라테스 강 유역은 1년 중 8개월 동안 구름 없이 맑은 날이 계속되었기 때문에 천문 관측에 더없이 적합했다. 관측대는 일반적으로 7층 탑의 맨 위층의 평평한 곳에 만들어졌는데, 점을 치는 점성 사제는 관측대 꼭대기에 올라가 천체의 운행을 관측하고 많은 천문 자료를 도서관에 남겼다. 이 지역의 천문학 발전은 점성술의 성행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. 이 지역 천문학자들은 맨눈으로 관측한 별을 기록하고 이름을 붙인 다음, 이들을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누었다. 그리고 엔릴(대기의 신)에게 별자리 33개를, 아누(하늘의 신)에게 별자리 23개를, 에아(물의 신)에게 별자리 15개를 할당했다. 여기서 더 나아가 그들은 하늘에서 움직이는 태양의 궤도에 위치한 별자리, 즉 '황도 12궁(signs of Zodiac)으로 나눴다. 점성술사들은 이 별자리들을 이용하여 미래를 예측하고 길흉화복을 점쳤다. 또한 이곳의 천문학자들은 행성과 항성을 구별할 수 있었고 다섯 행성의 운행 궤도를 매우 정확히 계산했으며, 태양이 움직이는 황도권을 태양 궤도로 달이 움직이는 길을 달 궤도라고 지칭했다. 그리고 별자리 사이의 거리 또한 다음의 3가지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었다. 

 

1. 시간 측정법:

    물시계에서 흘러나오는 물의 무게를 이용하여 동일한 자오선에 위치한 두 항성 간의 이동 시간을 측정한다.  

2. 호도 측정법:

    이 방법은 시간 측정법에서 유래했고 서로 평행한 궤도에 위치한 두 별의 거리를 원 중심각의 1분 또는 1항성일 중에 3개 시간 단위를 이용하여 표시하는 방법이다.

3. 길이 측정법:

    지면 위에 일정한 비율로 가상의 원을 그린 다음, 그것을 이용하여 실제 하늘의 별과 별 사이 거리를 나타낸다.

 

이 밖에도 고대 메소포타미아의 천문학자들은 특수한 천문 현상인 혜성, 유성, 무지개, 지진, 태풍, 일식/월식 등을 연구하는 데도 노력하였다.  아시리아인들은 우리가 사는 지구가 구라는 사실을 이미 알고 있었고 하늘은 대지를 덮고 있는 잔 뚜껑이라고 생각했다. 하지만 티그리스-유프라테스 강 유역의 고대인들은 태양과 지구의 관계, 지구의 자전 및 공전 등을 명확히 알고 있지는 못했다. 

 

오랜 천문관측으로 수메르인들은 자신만의 역법인 태양력을 만들었다. 그들은 달의 움직임을 토대로 1년을 몇 개월로 나누었고 태양년과 맞추기 위해 일정 기간마다 윤달을 하나씩 넣었다. 역법은 함무라비 왕조에 이르러 통일되었다. 1년을 12개월로 나누었고, 6개월은 29일씩이고 나머지 6개월은 30일씩으로 정하여 모두 354일이었다. 이는 지구가 태양을 한 바퀴 도는 실제 시간과 11일 5시간의 차이가 발생했는데 수메르인은 이문제를 윤달을 추가하는 방식으로 해결했다. 칼데아인들은 타고난 천문학자들이었다. 그들은 시간을 매우 정교하게 계산하여 1주일을 7일로 나눴고 1일을 12시간 1시간을 120분으로 나누었다. 

 

티그리스-유프라테스 강 유역 사람들은 해시계와 물시계를 이용하여 시간을 측정했다. 물시계로 시간을 측정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. 바닥에 작은 구멍이 난 그릇에 물을 가득 채운 뒤, 어떤 특정한 별이 나타나면 그 구멍을 막아 둔 것을 열어 물이 흘러나오게 하고, 이 별이 지면 구멍을 닫는다. 이때 흘러나온 물의 무게를 잰 뒤 이 무게의 1/12과 1/360의 무게를 결정한다. 이어 이 물을 별도의 그릇에 담아 해당하는 기호를 이 그릇에 표시한다. 그러면 눈금을 보고 이에 해당하는 시간을 알 수 있다. 

 

이처럼 메소포타미아의 천문학은 매우 뛰어났고 후에 유럽 천문학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. 다른 천문학이 발달했던 문명은 없었을까? 이어서 다른 문명들의 천문학을 계속하여 확인해 보겠다. 

 

반응형

댓글